기계식 키보드
각각의 키를 눌렀을 때 복원되는 반발력을 고무 따위가 아닌 스프링을 통해 실현한 키보드
-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Fig.1 기계식 키보드 그 시끄러운 거 왜 써요?
기계식 키보드 쓰는 사람 손!
근데 기계식 키보드 왜 쓰세요? 많은 사람이 게임을 할 때 타격감 때문에 쓴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기계식 키보드는 컴퓨터 게임이 발달하기 전부터 존재했죠. 사실 기계식 키보드가 등장한 이유는 바로 기계식 타자기의 키감을 재현하기 위함이었어요.
초기 기계식 타자기는 자판을 손으로 누르면 그 힘이 그대로 활자 해머에 전달되어 종이를 때리는 형태였어요. 이 기계식 타자기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였고, 타이피스트라는 직업도 생겨났죠.
20세기 초가 되자 전자공학이 발전하고 타자기도 전자식으로 발전했습니다. 전자 타자기는 더는 무겁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기계장치가 필요 없었어요. 대신 자판을 손으로 누르면 전기 신호가 발생하고, 도트 매트릭스 방식(옛날 잉크 카트리지가 왔다 갔다 하는 프린터 원리)으로 종이에 글씨가 써졌죠.
문제는 기계장치를 최소화하자 타자가 눌린 건지 안 눌린 건지 구분하기가 힘들었다는 점이었어요. 타이핑이 직업인 전문 타이피스트에게는 치명적인 문제였죠.
타이피스트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1961년 IBM에서는 인쇄 장치에 입력되는 순간, 소리를 낼 수 있는 장치를 추가해 전자식 타자기를 개발했는데요. 이 전자식 타자기의 이름은 셀렉트릭으로, 셀렉트릭은 출시하자마자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전자식 타자기의 표준이 되었죠.
하지만 70년대 워드프로세서의 등장으로 키보드와 인쇄장치가 분리되면서 인쇄장치에서 소리를 내는 셀렉트릭의 방식으로는 더 이상 기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어요. 그래서 키보드 자판에 소리를 내는 장치를 추가하게 되었고, 이게 바로 기계식 키보드입니다.
Fig.2 청축, 갈축, 적축? 정리해드림!
️


기계식 키보드에서 가장 유명한 업체는 체리
사죠. 1953년 발터 체리가 설립한 체리사는 원래 기계용 스위치를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 회사였습니다. 1967년이 되어서야 키보드를 만들고, 기계식 키보드는 1984년이 되어서야 만들기 시작했어요.
체리사에서 최초로 출시한 기계식 키보드인 Mechanical X-포인트 스위치는 흑축입니다. 나중에 등장할 청축, 갈축과 비교해보면 걸쇠 부분에 걸리는 것이 없죠. 이렇게 걸쇠가 없는 것을 리니어 방식이라고 하는데요. 구분감이 없지만, 내구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구분감이 없는 것은 오히려 연타에는 유리하다는 장점이기도 했죠.
흑축이 출시된 이후 3년 뒤에는 청축이 등장하는데요. 보다시피 ‘클릭’하기 때문에 클릭 방식이라고도 부릅니다. 클릭 방식은 흑축과 반대로 연타에는 불리하지만 구분감이 좋아 타자의 정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죠. 이 때문에 최근에는 정확한 타이밍에 키를 눌러야 하는 리듬 게임 및 격투 게임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죠.
갈축
ergo soft
갈축은 인체공학 키보드 제조사 키네시스Kinesis 의 요청으로 1992년 에르고 소프트Ergo Soft 란 이름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갈축은 흑축과 청축을 적절히 혼합한 축이었는데요. 걸쇠가 있어 흑축처럼 구분감이 없지 않았고, 청축처럼 클릭하지 않아 소리가 요란하지 않았죠.
적축
기계식 키보드는 타자기 타자기의 키감을 익숙해하는 수요층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존재할 수 있었는데요. 하지만 점차 타자기에 익숙한 사람들도 사라지고, 멤브레인 방식이라고 불리는 저렴한 일반 키보드들이 시장을 잠식하면서 기계식 키보드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그런데 2000년대 말부터 PC게임의 급격한 성장으로 기계식 키보드의 수요가 다시 늘어났습니다. 게임에서도 키가 제대로 눌렸는지 알 수 있는 구분감이 중요했기 때문이죠.
체리사는 발 빠르게 이들의 수요에 맞춘 적축을 출시하는데요. 연타에 적합하도록 걸쇠를 없앴고, 스프링을 약하게 해 누르는 피로감이 적은 축이었죠. 체리사의 예상은 적중했고 적축은 가장 잘 팔리는 축이 되었습니다.
Fig.3 체리보다 먼저 유행했던 기계식 키보드
체리사보다 먼저 만들어지고, 먼저 유행했던 기계식 키보드가 있는데요. 1983년 출시된 ALPS 스위치 방식의 키보드입니다. 체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압력변화를 만드는 스프링이 2개나 있다는 점이었는데요. 그래서 대체로 키압도 체리보다 강하고 키압 변화도 심해 구분감도 강했어요. (즉 손맛이 더 좋다는 것)
ALPS도 클릭 / 넌클릭 / 리니어가 존재하는데요. 그 안에서도 종류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넌클릭 오렌지축이 애플 키보드에 사용된 적이 있고, 넌클릭 핑크 축은 델의 AT101 구형 키보드에 사용되었죠. 하지만 멤브레인 키보드가 시장을 장악하자 알프스는 키보드 사업을 철수했어요.
클릭 - 청축, 백축, 호박축
넌클릭 - 갈축, 오렌지축, 핑크축, 흑축, 녹축, 크림축, 백축
리니어 - 갈축, 녹축, 황축
Fig.4 뭔가 이상해 보이는 기계식 키보드? 버클링 스프링 스위치
뭔가 잘못 만들었지만 어쨌든 작동되는 여러분의 코딩과 비슷해 보이는 이 키보드는 1977년 IBM에서 나온 버클링 스프링 스위치입니다.
특이하게 수직으로 키가 눌리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이 구부러지면서 키가 눌리는 구조인데요. 현재는 볼 수 없는 타건감으로 매니아들이 찾지만, 청축보다 소리가 커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키보드라고 합니다.
참고로 이 축을 사용해보려면 IBM Model F나 Model M을 구입해야하는데요. 현재는 생산이 안 돼서 중고로 구입해야 하죠.
Insight.
타자기의 키감을 그리워 하는 사람들이 주로 샀던 기계식 키보드가 게임 혹은 코딩하는 사람들의 사람을 받게 될 지 누가 알았을까요? 심지어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컴퓨터 게임이랄 것이 없던 시기였는데 말이죠.
존버가 승리한다는 것은 새로운 시장이 그 제품을 소비해줄 수 있을 때 가능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운이 억세게 좋아야 한다는 말이죠.